레이는 모든 트림에 걸쳐서 변속기 레버 구조가 동일한 것 같습니다.

레이 EV 변속기레버 모양

레이 터보 변속기 모양
터보든 노멀이든 바이퓨얼이든, 선택할 수 있는 기어는 5개입니다. P/R/N/D/수동
수동은 D모드에서 오른쪽으로 기어를 넘겨서 진입하고, 각각 +/-가 있습니다.
반면 EV는 6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P/R/N/D/E/B
E는 에코모드, B는 브레이크 모드인데 각 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Drive) |
E(Echo) |
B(Brake) |
엑셀 반응 |
빠름 |
느림 |
빠름 |
감속(회생제동) |
거의 없음 |
보통 |
큼 |
전기차의 특성상 회생제동을 많이 해야 주행거리를 늘릴 수가 있는데
일반 레이처럼 오른쪽으로 넘어가서는 E/B 간의 전환밖에 되지 않습니다.
평상시 연비주행 때야 뭐.. E/B간의 전환만 하면 되니까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만,
(주행시 E ->감속시 B -> 정지시 E)
순간 가속이 필요하면 레버를 왼쪽으로 쭉 밀어서 D로 변경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속이 끝난 뒤에 다시 E/B쪽으로 다시 쭉 밀어줘야 하지요.
이게.. 뭐 밀면 되지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직접 타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D/E/B 모드전환이 불편해서 레이를 구매희망 리스트에서 아예 제외를 했을 정도니까 말이죠.
B모드에서 엑셀을 놓았을때 회생제동이 크게 걸리면서 차가 울컥하는 느낌은.. 정말... 그지같습니다.
그리고 D <-> E/B 모드 옮길때 꾀나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소리도 툭~ 툭~ 하고 크게 나구요.
타보신분들은 공감하실겁니다.
여튼 사와서 운전하면서도 계속 거슬려서, 이것만은 꼭 손대야겠다고 다짐에 다짐을 한 끝에
드디어 일을 저지르게 되었습니다. ㅎㅎ
|
현기차가 내수시장에서 욕을 먹지만, 그래도 전 현기가 싫지만은 않습니다.
부품관련된 문제로 어려움을 느꼈던 적이 거의 없으니까요 ㅎㅎ
거기다 얼마전부터는 정비매뉴얼도 일반인에게 무료로 공개하고 있었습니다.
참.. 이런부분은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배선정보 확인을 위해 globalserviceway에 접속합니다.

빨간색 동그라미친 지식과 정보에 들어가면..

정비지침서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

오오오오!! 이렇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ㅎㅎ
정비매뉴얼을 구입하려는 마음까지 있었던 저로써는.. 이건뭐.. ㅎㅎㅎ ㄳㄳㄳ
gsw의 정비매뉴얼 조회 설명은 여기까지로 하고, 회로도를 찾아봅니다.
위의 이미지상 "정비지침서" 라고 표시된 콤보박스를 선택하면 메뉴가 펼쳐지면서 "전장회로도" 항목이 있습니다.

찾은 회로도입니다. 중앙, 오른쪽 상단에 변속기 레버 회로가 있네요.
인히비터 스위치의 D에서 나오는 signal이 "시프트 레버 스위치"의 각 단으로 연결되는 모습입니다.
case 별로 한번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인히비터 IN(5) |
시프트 포지션 Down (6) |
Select 스위치(7) |
시프트 포지션 Up(8) |
P/R/N |
Low |
Low |
Low |
Low |
D |
High |
Low |
Low |
Low |
D에서 레버를 오른쪽으로 넘겼을때(D유지) |
High |
Low |
High |
Low |
레버를 위로 올렸을때(E) |
High |
Low |
High |
High |
레버를 아래로 내렸을때(B) |
High |
High |
High |
Low |
레버를 왼쪽으로 넘겼을때(D) |
High |
Low |
Low |
Low |
"Select 스위치(7)" 의 Low/High에 따라 E/B <-> D 간의 전환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즉, 7번 라인에 스위치를 달아서 On/Off 제어를 하면 되는 것이지요.
|
방법을 찾았으니, 구현을 어떻게 할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1. 기어봉에 스위치를 달고 배선을 짤라 연결한다.
- 제일 간단하나, 스위치가 일체형 느낌이 안나므로 모양이 안이쁘고 조잡해질 것이다.
2. 에쿠스 기어봉으로 교체한다
- 기본적으로 버튼이 여러개 있어서 모양은 잡히나, 레이에 안어울리는 에쿠스 전자식 기어봉이라니.......
3. D <->E/B 넘어가는 중간에 칸막이를 설치한다
- 금속 막대기같은걸로 중간을 막아버리면 E/B에서 D로 넘어가다 다시 E/B로 돌아오는데, 이때 기어는 D로 바뀝니다.
- 근데 이거 이쁘게 달기도 힘들고 조잡할거 같고....
4. 핸들에 패들시프트를 달아서 연결
- 패들시프트로 +/- 매핑하는거야 어렵지도 않고 좋은데 EV는 모드가 3개라, 2개로는 부족하지요.
5. 핸들에 패들시프트 연결 + 전자식 회로를 만들어서 D <-> E <-> B sequential shift
- ???????...
6. 변속기 레버 박스 개조
- ................................
어느하나 딱히 견적(?)이 잘 나오는 방법이 없습니다.
이럴경우 작업난이도도 올라가고, 작업 퀄리티도 유지하기 힘들고,
무엇보다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가죠.. 젠장
그래도 포기는 못하겠고.. 해서
이왕 할거 가장 깔끔한 output이 나올 수 있는 6번-_-으로 시작!
이번엔 모비스 부품조회(WPC)로 구입할 부품 찾기!
http://mobis.co.kr 에서 부품 상세 검색(WPC) 메뉴로 이동하면 됩니다.
회원가입하고 차대번호 넣으면 본인 차량 부품 조회가능 ^^
설명은 생략합니다......

변속기 레버 박스 부품도입니다.
저는 브라켓 어셈블리하고 레버 앗세이, 케이블 마운팅 브라켓 3개를 샀습니다.
46721-A3000, 46734-A3000, 46730-A3000
다 하고 나서 보니 실패를 안해서, 사실 살 필요 없었습니다만
작업하는동안 차 세워놓고 운전 안할건 아니니..
그리고 "스위칭 하우징 어셈블리(46780-A3000)" 까지 사시면 될것 같습니다.
구매하는 것들은 실제로 훼손(?)하는 부품들입니다.
실패하면 원복은 해야죠 ...... ㅎㅎ
자금의 여유가 되신다거나 실패가 두려우신 분들은
저거 통채로 사셔도 됩니다. 46700-A3050, 65000원 입니다.
제가 원하는 방식은 바로 이겁니다. 오른쪽으로 밀었을때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D로 변하는 것..!

오늘 희생당할 부품들 사진입니다.


최대한 사진을 이용해서 설명해보려 했지만,
아무리 설명해도 그림만 못할것 같습니다. 해서 그림으로 대체!

손으로 직접 그리다보니.. 안습..
대충 저렇게 생겼습니다. 아래서는 스프링이 위로 밀고있고, 위에 레버는 V자 모양으로 되어서
V자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레버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밀립니다.
제가 원하는대로 하려면.. 다음과 같이 레버쪽이 바뀌어야 합니다.

기존에 V자로 2단계로 나뉘어있던 레버를 W자로 3단계화 시켰습니다.
D는 그대로고, E/B모드일 때는 가운데 파인 곳에 위치하게 됩니다.
오른쪽으로 레버를 더 밀면 레버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되, 롤러가 파인 부분을 넘지 않게끔 하면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서 다시 가운데 파인곳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자동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은 완성.. ㅎㅎ
위 그림을 토대로 파낸 사진입니다.

이렇게 매끄럽게 V자를 그리는 부분을

W자 모양이 나도록 파줍니다. 파는 도구는 칼, 니퍼...
실톱이나 하다못해 조각칼이라도 있었으면 좀 빨리 했을텐데.. 제일 시간 오래걸렸네요.\
주의하실 점은, 한번 파면 끝입니다! 잘못파면 버려야합니다 ㅎㅎ
파는 위치 잡을라고 얼마나 뚫어져라 쳐다봤는지... 저는 다행히 한번에 성공했습니다!!
대충 조립한 상태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어디를 파면 될지 보시면 될겁니다.
레버가 실제로 움직이려면 공간이 있어야겠죠?
하우징도 팝니다. 이렇게..

이거 역시 칼로, 니퍼로 파내느라 죽을뻔 했습니다.
아우 힘들어.. 다시는 못할짓;;
그리고 회로와 관련된 스위치쪽 작업을 해야합니다.
스위치가 움직이는 기계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레버가 D에 있을 때 위에 보이는 흰색 기둥이 저 위치에 있다가,

레버를 오른쪽으로 넘겼을 때, 흰색 기둥이 눌려지면서 아래로 내려갑니다.

뒷면 접점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이건.. 저 흰색 기둥의 아랫부분을 짤라서, 기둥의 런웨이(?)를 길게 하면
기판 구조상 open-short-open 이 구현됩니다.

첫번째 : D에 있을 때 - 스위치 open (연결 안됨)

두번째 : E/B 모드로 넘어왔을때 - 스위치 close (연결됨)

세번째 : 새로만든 모드로 갔을 때 - 스위치 open (연결 안됨)
자릅시다......

칼을 블에 달궈서 쓰윽 잘랐습니다.
N95 마스크 쓰고 환기 시킨상태로 작업... 그라인더 사고싶다.
기둥이 밀려서 밑으로 내려오게 되면 open 되는 위치까지 오겠네요.

아래는 기존 스프링이고, 위에는 모나미153 볼펜안에 있던 스프링 입니다.
기존 스프링이 너무 촘촘해서 아래까지 내려오질 못하거든요.. 교체!

차에서 원래 기어레버 박스를 떼고

전부 분해한다음 새로 산거랑 교환합니다.
차마 분해하는것 까지는 포스팅을 못하겠습니다.
대충 보이는대로 뜯었다 조립하면 됩니다. 간단하게 생겨서 어려울것도 없고..
아 그리고, 분해하시다 보면 솔레노이드 밸브 하나 있는데요
여기 안쪽 스프링을 구리스로 채워주시면
브레이크 밟았을때 솔레노이드 밸브 움직이는 딸깍 소리가 안납니다 ^^
뜯은 김에 구리스 듬뿍 넣어주시구요,
주사기에 구리스 채워넣고 솔레노이드 안쪽에 쏘면 분해 안하고도 채울수 있을것 같더군요
나중에 따로 포스팅을 해야겠네요.